
백화점의 AI 카피라이터 ‘루이스’, 드림투어의 AI 비자 안내 시스템, 그룹 홍보실의 보도자료 초안 생성 시스템 ‘합대리’, 누가 만들었을까요? 바로 IT&E AI LAB의 손끝에서 탄생한 AI 활용 서비스들인데요. 이번 호 동행에서는 우리 그룹에서 AI와 가장 가까운 그룹 가족들을 만나고 왔습니다.
동행으로 인사드리게 돼 반갑습니다. IT&E AI LAB입니다. 저희는 AI 기술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연구 조직인데요.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AI를 활용한 서비스를 발굴하는 것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더현대 서울의 ‘언커먼스토어’에 접목된 인공지능 기반 자동 결제 기술을 저희 팀(당시 리테일테크 LAB)에서 연구했는데요. 더욱 본격적인 AI 연구를 위해 2023년 11월 AI LAB으로 확대됐고, 올해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정부로부터 연구개발전담부서로 다시 한 번 인증 받았습니다. (최초 인증은 2021년이었어요!)
AI 기반 챗봇, 리포트 작성 등 생성형 AI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업무 혁신을 지원하는 것이 저희의 주요 과제입니다. 최근에는 우리 그룹뿐만 아니라 타 기업과도 생성형 AI 관련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어요.
과제를 진행할 때 ‘데일리 스크럼’이나 ‘스프린트’ 방식으로 많이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세상에 안되는 건 없다”는 각오로 열정을 갖고 일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초로 AWS 기반의 자동 결제 기술을 적용한 언커먼스토어를 오픈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모든 과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해결하고 있어요!
업무 공유 방식 중 하나로, 매일 아침 모든 구성원이 각자 당일의 업무와 협업 요청 사항을 공유하는 것. 이를 통해 구성원 전체는 서로의 업무 일정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 달 또는 그보다 짧은 기간 팀이 목표로 정해 놓은 일을 하는 것. 새로운 스프린트는 직전의 스프린트가 끝나는 즉시 시작해야 한다.
챗 GPT가 그럴듯한 거짓말을 할 때가 있어 팩트 체크를 잘해야 한다고 말하죠. 이처럼 생성형 AI가 거짓말을 마치 사실인 것처럼 답변하는 것을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B2B 서비스를 구축할 때 반드시 이 ‘할루시네이션’을 최소화 해야 하는데요. 저희도 작년 생성형 AI 비즈니스 모델 방향성을 잡을 당시 이 부분을 염두에 두고 많이 고민했습니다.
고민 끝에 생성형 AI가 기업 정보를 참고해 답변을 하도록 도와주는 벡터 데이터베이스 ‘벡터코어(Vectocore)’ 솔루션을 출시했습니다.
벡터 데이터베이스는 텍스트를 비롯해 이미지, 영상 등 비정형 데이터를 벡터 형식으로 저장하는 솔루션인데요. 벡터코어(Vectocore) 솔루션은 기업의 방대한 데이터를 벡터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해 기업별 맞춤형 AI 솔루션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 솔루션입니다. AI 개발 노하우를 활용해 할루시네이션 리스크를 최소화한 것이 특징이에요.
이번에 저희가 출시한 AI 솔루션에 대한 더 자세한 이야기는 아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합대리’ 개발 프로젝트는 생성형 AI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여정이었던 것 같습니다. 이를 위해 홍보실과 정말 많이 고민했고요. 특히 생성형 AI의 경우 일정 글자 수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보도자료 초안이 작성될 만큼의 글자 수를 생성하고, 그 내용에 일정한 톤앤매너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었어요.
처음에는 합대리가 만족스럽게 글을 작성하지 못했지만, 홍보실 그리고 AI LAB 팀원들과 여러 번 머리를 맞대고 다양한 테스트 버전을 적용한 끝에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었고, 최종적으로는 예상 목표치보다 높은 성능으로 오픈할 수 있었습니다. 생성형 AI를 활용해 신규 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하는 프로젝트였기 때문에 꼭 성공하고 싶었고, 여러 번의 좌절을 주었지만 결국 큰 기쁨을 준 프로젝트였습니다.
생성형 AI를 활용해 이미지를 생성·수정하는 ‘피카쇼(피카소 아닙니다!!! )’를 연구 개발하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콘셉트를 입력하면 해당 분위기에 맞는 이미지를 생성하고, 원하는 부분의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요. 이미지를 활용하는 그룹사와의 협업을 통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드림투어와 협업을 통해 개발한 AI 비자 안내 서비스가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 검색 의도와 문맥을 파악하는 ‘시맨틱 검색’ 기능을 갖춰 더 구체적이고 적합한 정보 수집이 가능하게 했습니다. AI 챗봇에게 전 세계 국가의 비자 관련 궁금한 점을 물어보기만 하면, 최신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요!
나아가 한섬과도 AI 리포트를 연구하고 있어요. 더욱 많은 사례와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5월 29일에 진행되는 AI 세미나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깨알 홍보)
고객사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라이브 스트리밍 솔루션 ‘라이브잽(LiveZAP)’, 동영상 공유 솔루션 ‘비쉐어(ViShare)’도 저희 AI LAB에서 개발했는데요. 약 2년간 직접 연구하고 수십명의 현장 의견과 수백 번의 테스트를 거쳐 만든 솔루션이기 때문에 라이브 방송을 진행중인 그룹사 분들이라면 사용해봤을 때 정말 마음에 드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향후에는 AI를 활용해 숏폼용 동영상을 요약하는 기능도 연구 개발 중이랍니다! PoC(Proof of Concept)* 적용은 무료이니 궁금하시다면 연락주세요!
*PoC(Proof of Concept): 새로운 프로젝트가 실제로 실현 가능성이 있는가, 효과와 효용, 기술적인 관점에서부터 검증하는 것
불과 3년 전까지만 해도 AI는 ‘딥러닝’, ‘머신러닝’ 등으로 이야기되며 AI 기술에 대한 깊은 지식이 있어야 도전할 수 있었는데요. 이제 생성형 AI가 새롭게 등장하면서 비전공자분들도 얼마든지 도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누구나 AI에 관심만 있다면 상상을 현실화할 수 있습니다. 그룹 가족 여러분들도 상상만 했던 것을 앞으로 AI LAB과 함께 현실로 바꿔나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TOP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