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

제주 당근 재배 농가 돕기 위해 '제주 왕 당근' 200톤 매입

우리 그룹은 지난 15일 '풍년의 역설'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주도 당근 농가를 위해 제주산 당근을 대량 매입해 당근의 수요·공급 안정화를 돕고 소비 촉진에 나선다고 발표했습니다. 식품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형 태풍들이 모두 제주도를 비껴가며 제주산 당근 작황이 크게 좋아 수확량이 재작년과 비교해 85%가량 급증했는데요. 연간 소비량이 일정한 당근은 생산량이 늘어나면 오히려 농가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는 '풍년의 역설'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그룹은 제주농협조합공동사업법인으로부터 '제주 왕 당근' 200톤을 매입했는데요. 이번 매입 규모는 그린푸드의 월평균 당근 사용량의 두 배에 달하는 양입니다. 그룹은 백화점·홈쇼핑·그린푸드·이지웰 등 주요 계열사의 유통 역량을 활용한다는 방침입니다.

그린푸드는 주력 사업인 단체급식 분야에서 당근 사용량을 늘려나갈 계획이며, 운영 중인 식음료(F&B) 브랜드 '베즐리(VEZZLY)'와 '조앤더주스(JOE & THE JUICE)'에서도 제주산 당근을 활용한 메뉴를 확대합니다. 백화점은 경인·충청 지역 12개 점포 식품관에서 당근 소비 촉진을 위한 '농가 돕기 당근 상생 특가전'을 18일까지 운영했습니다. 홈쇼핑은 모바일 라이브커머스 채널 ‘쇼라’를 통해 ‘제주 당근 산지 라이브’ 진행을 검토 중이며, 국내 1위 토탈 복지 솔루션기업 이지웰은 2,500여 개 고객사의 약 300만명 임직원을 대상으로 ‘당근 할인 기획전’을 여는 등 다양한 행사를 준비 중입니다.

그룹은 앞으로도 지역 사회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면서 식자재 경쟁력도 높일 수 있는 상생 활동을 지속 전개해 나갈 계획입니다.



한섬

국내 토종 패션 브랜드 최초 파리 패션위크 11회 연속 참가

한섬은 지난 18일 자사 캐주얼 브랜드 '시스템·시스템옴므'가 '2024년 F/W 파리 패션위크'에 참가해 단독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한다고 전했습니다. 파리 패션위크는 뉴욕, 런던, 밀라노 패션위크와 함께 세계 최대 규모의 프리미엄 패션 마켓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시스템·시스템옴므는 국내 토종 패션 브랜드로는 유일하게 2019년부터 매년 두 차례씩, 11회 연속으로 참가하고 있습니다.

한섬은 이번 2024년 F/W 파리 패션위크 단독 프레젠테이션에서 전 세계 20여 개국 패션 관계자와 바이어들을 대상으로 시스템·시스템옴므의 글로벌 컬렉션 신제품 200여 종을 선보였습니다. 이번 컬렉션은 영국 화가 ‘글룩(Gluck)’의 인생에서 영감을 받아 젠더-플루이드(남성과 여성의 경계를 넘나드는, Gender-Fluid)적인 요소를 담아 기획됐는데요. 시스템·시스템옴므 2024년 F/W 프레젠테이션은 현지 시각 18일 오후 6시 프랑스 파리 패션 중심지로 손꼽히는 마레 지구에서도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들의 쇼케이스 장소로 각광 받는 디지털 아트 및 현대 음악 센터인 ‘게테 리릭(La Gaîté Lyrique)’에서 진행됐습니다.

한섬은 코로나19 사태와 글로벌 패션산업 위축 등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파리 패션위크에 연속 참가하며 글로벌 홀세일 네트워크 확장에 지속 힘써왔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1월 파리 패션위크에서 선보인 2023년 F/W 컬렉션 수주액이 전년 대비 125.1% 이상 증가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위클리 이슈 최신글

댓글 (0)

  • 닉네임

  • 비밀번호

TOP